조회 2,498
이동석
발테스 ; "생애발달심리학의 특징" 이론적 관점 [ Baltes 1987 ]
개념 |
각관점의 내용 |
생애발달 |
개체의 발달은 생애에 걸친 과정이다. 어떤 연령도 발달의 성질을 규정하기 때문에 특별한 지위를 갖지는 않는다. 발달의 전과정을 통해서 또 생애의 모든 단계에 있어, 연속적(축적적) 인 과정과 불연속적 ( 혁신적 ) 인 과정의 양방향이 기능하고 있다. |
다방향성 |
개체의 발달을 구성하는 변화의 다양성은 동일 영역내에서 조차도 보여진다. 변화의 방향은 행동의 카테고리에 의해 여러가지이다. 더욱이 같은 발달적 변화의 기간에 대해서, 어떤 행위시스템에서는 기능레벨이 향상하나, 다른 행동시스템에서는 저하한다. |
획득과 상실로서의 발달 |
발달의 과정은 양적증대로의 성장이라고 말했던, 높은 유효성의 현실로 단순하게 향하는 과정은 아니다. 오히려 발달은 전생애를 통하여 항상 ( 획득 ) 과 상실 ( 쇠퇴 ) 가 결합되어 일어나는 과정이다. |
가소성 [可塑性] |
개인속에서의 커다란 가소성[가변성]이 심리학적 발달에 있어서 보여진다. 따라서 개인의 생활조건과 경험에 의해, 그 개인발달의 근간은 여러기지 형태로 취할수 있다. 발달연구의 중요한 포인트는, 가소성 범위와 그것을 제어하는 것을 추구하는 일이다. |
발달이 역사속에 묻혀져 있는 일 |
개인의 발달은 역사문화적인 조건에 의해 굉장히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. 어떻게 해서 개인의 [ 연령에 관계한 ] 발달이 진행하는 가를 논하는 것은 그 역사의 기간에 존재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조건과, 그 조건이 그 이후에 어떻게 추이하는 가에 의해 현저하게 영향되어진다. |
패러다임 으로서의 문맥주의 |
개개인의 발달과 어떤 특정의 근간도 발달적 요소인 3개의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[변증법]의 결과로 이해할 수가 있다. 3개의 요인은 연령을 동반하는 것 , 역사를 동반하는 것, 그리고 이런 기준이 없는 것, 이다. 이런 시스템의 기능은 문맥주의에 결합된 메타 이론적인 원리에 의해 특징지어진다. |
학제적 연구로서의 발달 연구 |
심리학적 발달은 인간발달에 관계하는 다른 학문영역 [ 예를 들어 인류학, 생물학, 사회학 ] 에 의해 초래된 학제적 문맥 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. 생애발달적 방향을 학제적 태도에 대해서 열어 는 이유는 [ 순수주의적 ] 인 심리학적 시점만으로는, 수태부터 죽음에 이르는 행동발달에 극히 일부분만으로 묘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. |
#국제대학교상담심리치료학과#상담학과#심리학과#망상#환각#3년제# 상담심리#정신병#심리치료#쿠르트슈나이더#정신장애#망각#환각#상담심리학과#3년제#이상심리학#감정장애#기분장애#인격장애#철학#비트켄슈타인#일상언어철학#분석철학#현대철학#언어철학#폭로법#교육심리학#로프투스#범죄심리학#신경증#마음#갈등#억압#정신질환#Rosenhan#발테스#발달심리학#수시#심리상담